시간적 범위
공간적 범위
1차 범위 : 완주군 도시지역 8개면 읍면 [삼례읍, 봉동읍, 용진읍, 상과면, 이서면, 소양면, 구이면, 고산면]
2차 범위 : 쇠퇴지표를 2개 이상 만족하는 80개 집계구 [재생법 상 인구, 사업체수, 노후주택 쇠퇴기준]
내용적 범위
문헌, 통계자료, 현장 조사
쇠퇴진단/여건분석/기본구상/전략수립
재생활성화지역 선정/우선순위 설정/재원조달계획 등
주민공청회/의회 의견청취/관계행정기관 협의 등
지방도시재생위원회 자문
지방도시재생위원회 심의
계획의 확정에 따른 공고 및 열람
착수보고
용진 주민교육
삼례주민의견수렴
~ 1960년 : 완주의 성장기
만경강을 중심으로 한농업의 중심지
1970 ~ 1990년 : 완주의 쇠퇴기
농업의 산업 경쟁력 약화로 인환쇠퇴기 도래
1990년 ~ : 완주의 재성장기
전북지역의 중추산업단지가 자리잡으면서재성장기에 접어듬
[도시재생법 상의 쇠퇴지표 분석기준]
최근 30년간 인구가 가장 많았던 시기와 비교하여 20%이상 인구가 감소한 지역
최근 5년간 3년 이상 연속으로 인구가 감사한 지역
최근 10년간 「통계법」 제18조에 따라 통계청이 승인한 전국사업체 총조사 겨로가에 따른 총 사업체 수가 가장 많았던 시기와 비교하여 5퍼센트 이상 감소한 지역
최근 5년간 3년 이상 연속으로 총 사업체 수가 감사한 지역
전체 건축물 중 준공된 후 20년 이상 지난 건축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50퍼센트 이상인 지역
[완주군 집계구별 쇠퇴지표 분석]
구분 | 1 삼례읍 |
2 봉동읍 |
3 용진읍 |
4 상과면 |
5 이서면 |
6 소양면 |
7 구이면 |
8 고산면 |
---|---|---|---|---|---|---|---|---|
소계 | 20 | 17 | 9 | 4 | 6 | 11 | 5 | 8 |
쇠퇴지표 3개 만족 |
7 | 8 | 3 | 2 | 0 | 1 | 2 | 3 |
쇠퇴지표 2개 만족 |
13 | 9 | 6 | 2 | 6 | 10 | 3 | 5 |
완주군 도시재생의 비전
성장원동력 팔색기능과 함께하는 원공간의 재창조
완주군도시재생의 목표 및 전략
중심상업기능 활성화
휴양관광기능 강화
특화산업 거점 조성
주거환경개선
생활복지확충
복지주택공급
귀촌환경조성
전통문화계승
미래유산발굴
지역축제활성화
문화예술거점조성
주민교육 강화
공동체 육성
주민창업 조직육성
공동체 거점조성
완주군 도시재생 권역설정
상위계획 검토
완주비전 2025 장기종합발전 계획 상 3개 생활권으로 분류자원분석
역사·문화·자연·관광·산업 등의 지역자원 종합검토추진사업 검토
기 추진사업 및 현안사업 검토종합분석
단계별 검토사항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권역 설정중심도시 권역
자체적으로 중심지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지역
배후주거 권역
양호한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전주시의 배후 주거기능을 갖는 지역
활성화지역 집계구도출
중심도시권역[삼례, 봉동, 용진, 이서, 고산]
주거 및 상업지역 또는 쇠퇴지표 3개 만족 우선 선정
읍지역에서는 2개소 이상 선정
배후주거권역[상관, 소양, 구이]
계획관리지역을 대상으로 함
쇠퇴지표 3개 우선 선정
면소재지 우선 선정
주거개발진흥지구, 지구단위계획구역 등을 우선 선정
활성화지역 경계설정방안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사업유형 및 규모
구분 | - | 근린재생형 | 도시 경제기반형 | ||
---|---|---|---|---|---|
우리동네살리기 | 주거지지원형 | 일반근린형 | 중심시가지형 | 경제기반형 | |
추진근거 | 국가균형발전법 |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 |||
대상 | 소규모 저층 주거밀집지역 |
저층 주거밀집지역 |
골목상권과 주거지 혼재 |
상업, 창업, 역사 관광 문화예술 등 |
역세권, 산단, 항만 등 |
특성 | 소규모 주거 | 주거 | 준주거 | 상업 | 산업 |
기간 | 3년 | 4년 | 4년 | 5년 | 6년 |
면적 | ~5만㎡ | 5만㎡ ~ 10만 ㎡ | 10만㎡ ~ 15만 ㎡ | 20만 ㎡ | 50만 ㎡ |
내용 | 노후주거지 정비, 공동이용시설, 생활편의시설 등 공급 |
노후주거지 정비, 골목길 정비, 주차장, 생활편의시설 |
이전·유휴공공 시설을 활용한 공동제거점 조성 |
공공기능 및 상권 활성화를 위한 시설 조성 |
기반시설 정비 및 복합앵커시설 구축 |